안녕하십니까 김영상 원장님! 질문있습니다~! > 온라인 문의 | 강남레옹치과

안녕하십니까 김영상 원장님! 질문있습니다~! >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안녕하십니까 김영상 원장님! 질문있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박사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연락처 조회 5,131회 작성일 2016-01-26 10:28

본문

 안녕하세요? 조만간 레옹치과에 방문 예정인 예비 환자?입니다.
치아 관련 내용을 서핑하던 중 딴지일보 교습강좌에서 바람인형이란 필명으로 쓴 글과 댓글 등을 감명깊게 읽고 이렇게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정말 존경합니다. 개원의사로서 이렇게나 학구적이시고 열정적인 분도 분명 있으시구나란 생각이 절로 들더라구요.(근데 100%정확한 건 아닌 것 같습니다. 그 분의 아이디를 클릭하고 홈페이지 방문을 눌러보니 여기에 접속되어서..^^; 사실 성함도 모르겠고...그래서 먼저 너무도 익숙한 김영삼 원장님을 제목에서 외쳐봅니다.)
 
예전 앞니가 부러진 후, 치근단 절제술만 총 4번을 받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종합병원에서 수술받고나서야 좀 안정된 상태인데요. 재발의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습니다.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관리도 받고.. 앞니가 현재 pmf크라운으로 씌워진 상태인데, 수술시 잇몸라인을 따라 잇몸을 절개한 적이 있어서 이로인해 잇몸이 조금 퇴축됐고.. 또 이로인하여 잇몸과 보철물 사이에 진짜 치아가 조금 드러나있는 상태입니다. 이부분에 대해 다시 처치 받고 싶기도 하구요. 자세한건 방문했을 때 직접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존경하는 선생님! 방문 전에 정말 궁금한 부분이 있어 여쭤보고자 합니다. 찾아뵙고 여쭤보면 괜히 바쁘신데 시간 잡아먹을 듯 하여 게시판에 먼저 글로 써봅니다.
 
접합상피(junctional epithelium)에 대한 몇 개의 질문이 있습니다.
 
1. 접합상피는 잇몸과 치아를 강력하게 부착시켜, 상피의 연속성을 유지시켜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만약 수술 등의 이유로 잇몸을 드러냈다가 다시 덮었을때 즉, 접합상피가 치아에서 떼어졌다가 다시 치아에 접촉했을 때에도 hemidesmosome과 basal lamina에 의해 접합상피가 다시 치아에 접합하나요?
 
2. 임플란트에는 접합상피가 접합하지 못하고 점착하기만 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만.. 여러 논문을 찾아보니 임플란트에도 접합상피가 기존 자연치아에서처럼 hemidesmosome과 basal lamina에 의해 접합한다고 나와있더라구요. 어떤게 맞는건가요? 접합상피가 임플란트에도 자연치아에서처럼 접합할 수 있는건가요?
 
3. 앞니를 pmf 크라운으로 씌운상태인데, 이 경우에도 접합상피는 자연치아에 잘 접합되어 있는 것이 맞나요?
 
 
 
선생님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오타나 띄어쓰기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말씀해주십시오.
 
 

댓글목록

profile_image

장현민님의 댓글

장현민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안녕하세요.

분에 넘치는 칭찬 감사합니다.



1. 수술이나 소파술후에 치유되는 과정에서 치아와 상피의 결합이 다시 일어납니다. 하지만, 접합상피와 완전히 같은 형태는 아니고요. 보통은 long junctional epithelium attachment가 일어납니다.(마찬가지로 hemidesmosome으로 연결됩니다.)  조직학적으로는 이전의 접합상피와는 조금 다른 형태입니다. 원래의 접합상피가 치아의 발달및 맹출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인데 반해, 수술후 재생되는 상피접합은 기존의 구강상피가 자라들어오면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2. 임플란트의 크라운보다는 지대주에 상피접합을 일으키게 하려는 연구가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Titanium 표면에 hemidesmosome에 의한 결합은 가능합니다만, 대부분의 임플란트 보철의 특성상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경우가 있고, 이때 쉽게 상피에서 떨어져 나올수 있습니다. 아울러, 임플란트 표면과 상피의 접착이 현재까지는 그리 의미가 있을 만큼 강한 접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아-상피 의 결합보다 더 중요한 것이 치아-결합조직의 결합입니다. 이부분이 implant에서 약하기 때문입니다. 치아주변 조직에 존재하는 여러종류의 fiber의 배열 양상도 임플란트와 자연치에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도 합니다.

더 많은 연구가 일어나면 임플란트와 연조직의 결합 부분도 해결할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합니다.



3. 네 그렇지 않으면 염증이 계속 생길 것입니다. 자연치-연조직 접합부를 침범해서 크라운을 제작하면 연조직에 지속적인 염증이 발병하고, 접합이 보다 근단부로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이박사님의 댓글

이박사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조만간 찾아뵙고 인사드리겠습니다. 완전 존경합니다 장현민 원장님!

전화상담
카카오톡 상담